뇌 고장, 정신 질환에는 약물이 해답이다?

 



뇌에 처방 되는 주요 약물들을 보자. 

항우울제, 각성제, 정신 안정제 등이 정말로 효과가 있을까? 그리고 안전성은? 약물 복용에 따르는 문제점은 없을까? 정신 질환과 뇌 기능 이상의 근본 원인을 다스리는, 더 나은 대안은 없을까?

이 기분전환 약물들은 약품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다. 
또 총 매출액과 처방 건수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아동의 향정신병 약물 사용은 138퍼센트가 증가했다. 아동의 비정형 항우울제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ADHD 치료약의 사용은 세계적으로 300퍼센트나 증가했다고 한다. 더 심각한 것은 아동에 대한, 검증되지 않은 향정신성 약물 제재의 사용이 500퍼센트나 증가했다는 사실이다. 연구자들은 현재의 처방 관행이 현재 우리의 지식 수준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다시 말해, 이런 혼합 제제의 사용에 대해 현재 이뤄지고 있는 연구들이 아무런 근거를 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항정신병 약물 사용은 미국에서 지난 몇 년 간 매년 10~20퍼센트 증가해왔으며 오늘날 이들은 연간 매출액은 120억 달러(약 13조원)에 이른다. 의사들은 자신들이 잘 알고 있는 도구(즉, 약물)만 사용하는데, 이것은 환자와 의사 모두에게 불행한 상황을 만들고 만다, 어처구니없게도 제약 회사들은 약물 사용과 관련된 환자들의 반발이나 법적 소송을 단지 약품을 '연구개발'하는 데 불가피한 비용 정도로 생각하는 듯하다. 

약물 소비자들이 잘 모르는 것 중 하나가 공인 전 약물 시험이 매우 제한된 범위에서 시행된다는 사실이다. 몇 백 혹은 몇 천 명을 상대로 고작 몇 주에서 몇 개월 동안 시행될 뿐이다. 그런 다음 시장에 내놓고 300억 달러가 넘은 엄청난 광고비를 들여 판촉한다. 일단 인가를 받으면 이들 약물은 '어떠한' 용도로도 처방 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허가 사항 외 사용이다. 의사들은 오직 정신 분열 병에만 사용하도록 허가된 약물을 불안이 심하거나 강박 장애가 있는 환자, 심지어 행동을 통제하기 어려운 아동들에게도 처방한다.  



정신 질환에는 약물이 해답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울증은 프로작(뇌에서 분비되는 세로토닌 농도를 높여주는 항우울제) 부족 때문이 아니다!

기존 의학 훈련의 문제점은 의사가 치유자가 아니라 약물 학자가 되도록(외과의를 제외하고) 훈련 받는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진단 의학의 신화가 불러온 당연한 귀결이다. 우리 의사들은 질병에 이름을 붙이도록, 그런 다음 그 질병을 치료하는 약물을 지정하도록 교육 받는다. 

그러나 동일 병명을 가진 특정 그룹의 사람들 간에 질병의 원인이 각각 다르다면 특정 약물의 획일적 처방이 그들의 질병을 모두 치료할 수 있을까?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을 적절한 환자에게 적절한 이유로 준다면, 약물은 생명을 구할 정도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문제는 약물이 오늘날 의료계의 '유일한 도구'라는 점이다. '망치를 가지고 있으면 모든 것이 못으로 보인다'라는 옛말은 오늘날 의료계에 딱 들어맞는다.

이런 이유로 특정 증상에 대해 최선의 처치가 종종 무시되는 경우가 있다. 잠이 부족한 사람에게 각성제로 각성을 유도하여 에너지를 북돋울 순 있겠지만, 이 경우 '최선'의 처치는 잠을 자게 하는 것이다. 장에 염증이 있거나 비타민 B12를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우울증에 걸렸다면 항우울제인 프로작을 먹이기 보다 장을 고치고 비타민 B12를 적정량 공급해주는 것이 당연히 '최선의' 처치다.

매우 상식적인 것처럼 보이는 이 사실들이 의사들이 훈련받는 과정이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너무나 쉽게 무시 당한다. 의학의 목적은 개인에게 맞는 '올바른 의학'을 찾아내는 것이어야 한다. 그것이 약물이든 영양소든 식단 변경이나 해독, 호르몬, 운동, 심지어 귀신을 쫓는 행위일지라도 말이다! 효과가 있다면 어떤 것도 받아들이고 우리가 지닌 과학적, 경제적, 정치적 자원으로 그 효과성을 규명해야 한다. 



👵

치매 가족을 위한 법문
https://byungmu.blogspot.com/2023/10/blog-post.html


👹

장에 문제가 뇌 고장의 원인이다.
https://byungmu2.blogspot.com/2023/11/blog-post.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장에 문제가 뇌 고장의 원인이다.

음식 알레르기와 뇌 장애 연관성